go_bunzee

3D 인터페이스의 부활과 디자인의 재정의 | 매거진에 참여하세요

questTypeString.01quest1SubTypeString.03
publish_date : 25.06.30

3D 인터페이스의 부활과 디자인의 재정의

#디자인 #트렌드 #3D #이유 #목적 #설계 #인터페이스

content_guide

UI는 평면을 벗어난다. 평면 중심의 UI 시대가 끝나간다?

한동안 디지털 UI는 '플랫 디자인'의 시대였습니다.
불필요한 입체감은 배제하고, 그림자도 최소화하며, 정보 전달과 기능성에 집중하는 흐름이었죠.
하지만 최근 다시 입체감 있는 UI, 실시간 3D 그래픽, 공간 기반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그 배경엔 Apple Vision Pro, 메타 퀘스트 3, WebGL 기반 웹디자인, 그리고 AI 생성 3D 그래픽 기술의 진화가 있습니다.
이제는 '보기 위한 UI'에서 '머무는 UI', '움직이는 UI'로 UX의 스펙트럼이 확장된 거죠.

3D UI가 다시 주목받는 이유

1. 공간 디바이스의 대중화

  • Apple Vision Pro, Meta Quest 등 공간 기반 컴퓨팅 기기 확산

  •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위’가 아니라 ‘현실 위’에 배치됨
    → 결과적으로 UI가 입체적일 수밖에 없음

2. 몰입형 웹 경험의 필요성

  • 제품 소개, 브랜드 캠페인, 온보딩 등의 핵심 페이지에서
    → "움직이고 만질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더 큰 임팩트 제공

3. 생성형 3D 기술의 접근성 향상

  • Spline, Rive, Three.js 같은 툴이 전문 모델링 지식 없이도 사용 가능

  • AI 기반 모델 자동 생성 / 애니메이션 도구의 발전

지금 쓰이는 3D UI 활용 사례

분야

사례

제품 소개 페이지

Apple Vision Pro, Nothing Phone 웹사이트 등 입체적 카메라 시점

브랜드 캠페인

Nike 3D 웹 캠페인: 제품 회전 + 마우스 반응형

온보딩 경험

비행기 예약 서비스에서 좌석을 실제 배치대로 3D 시각화

포트폴리오

디자이너 포트폴리오 사이트에서 자신을 입체 공간에 배치하여 소개

도구의 진화: 디자이너를 위한 3D 툴 3가지

(1) Spline

https://spline.design/

  • 실시간으로 조작 가능한 3D UI를 직접 만들 수 있음

  •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모델링, 애니메이션 가능

  • Figma와 연동하여 2D → 3D로 전환 용이

(2) Three.js

https://threejs.org/

  • 자바스크립트 기반으로 웹에서 3D 구현 가능

  • 인터랙션, 카메라 제어 등 정밀한 커스터마이징 가능

  •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협업 시 매우 유용

(3) Zdog

https://zzz.dog/

  • 단순한 벡터 3D를 구현할 수 있는 경량 라이브러리

  • 로딩 시간 걱정 없이 가벼운 입체 애니메이션 가능


이러한 도구들의 공통점은 전통적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복잡함 없이 접근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3D는 언제 쓰면 안 좋을까?

3D UI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다음의 경우에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어요.

상황

3D UI가 불리한 이유

복잡한 정보 구조

텍스트 위주 페이지에서는 오히려 시선 분산

낮은 사양 디바이스

렌더링 성능 저하로 로딩/버벅임 발생

접근성이 중요한 환경

스크린 리더, 키보드 탐색과의 충돌 가능성

결국 중요한 건 “3D가 필요하냐”보다 “왜 필요한가”에 대한 설계 이유입니다.

3D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사고 방식

평면 UI에서는 ‘좌표’를 기준으로 사고했다면,
3D UI는 ‘시점’, ‘깊이’, ‘움직임’을 고려한 디자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필수 고려 요소:

  • - Z축 중심의 계층 구조 (Depth Management)

  • - 시점 기준 인터랙션 시나리오

  • - 실시간 반응형 애니메이션 플로우

  • - 360도 상태 관리 UX (회전, 축소, 확대)

기존의 UX Flowchart 대신
3D 공간 기반의 인터랙션 맵이 필요해지는 거죠.

디자이너의 새로운 기회: 3D를 아는 인터페이스 설계자

3D UI는 단순한 디자인 트렌드가 아닙니다.
완전히 새로운 환경과 UX를 상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배경을 가진 디자이너라면 기회가 큽니다:

  • - 제품 디자이너 → 실물 제품의 질감을 디지털로 옮기는 역할

  • - 게임 UI 디자이너 → 몰입형 웹이나 XR 앱으로 이동

  • - UX 디자이너 → 시점 전환 중심의 공간 내 인터페이스 설계

마무리하며: UI는 공간으로 확장된다

우리는 지금 UI의 역사상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2D 화면 중심의 UI’에서 벗어나, 공간 속 UI, 움직이는 UI, 몰입하는 UI로 가고 있죠.

이제는 어떤 레이아웃을 짤까에서 어떤 환경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와 만날까라는 질문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디자이너에게 3D는 어렵고 낯선 도구가 아니라, 새로운 무대에 올라가는 티켓입니다.

지금 바로 Spline을 켜보세요.
UI는 더 이상 평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3D UI reference by bunzee.ai